ourhopecatch

반응형
     

여는말

PEG의학용어

의학관련 정보를 검색할 때, PEG의학용어가 자주 눈에 띈다. 특히 삼키기 어려움, 장기 입원, 신경계손상, 또는 두경부암 등으로 음식 섭취가 제한된 환자들과 그 가족, 간병인들 사이에서 PEG가 반드시 이해되어야 하는 개념이다.

 

이 글에서는 PEG의학용어의 정확한 정의, 언제 필요한지, 어떤 절차가 있는지, 관리 및 합병증, 제거 시 문제, 비용 및 실제 사례까지 포괄적으로 다룬다. 의료인 뿐만 아니라 보호자, 환자 스스로도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정보들이다.

 

끝까지 읽으면 PEG가 무슨 뜻인지 넘어서 왜 의료현장에서 자주 언급되는지, 생활 속에서 PEG가 있을 때 어떻게 돌봐야 하는지까지 분명해진다.

 

 

 

PEG의학용어 정의: 무엇이며 줄임말 뜻

PEG은 영어로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경피적(經皮的) 내시경(內視鏡) 위루술(胃瘻術)”이다. 경피적이라는 것은 피부를 통과한다는 뜻이고, 내시경은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 위루술은 위에 구멍을 통해 외부와 위를 연결하는 것이다.

 

즉, 음식이나 영양을 입을 통해 섭취할 수 없는 환자에게 위벽을 통해 외부에서 튜브(관)를 삽입하여 영양 공급 및 수분, 약물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의료 절차이다.

 

언제 PEG의학용어가 사용되는가: 적응증과 필요성

다음과 같은 경우 PEG가 필요하거나 고려된다.

 

① 삼키기 어려움(dysphagia) — 뇌졸중, 신경계 장애, 두경부암 수술 후 등이 대표적이다. 입으로 음식 제대로 섭취할 수 없을 때 PEG가 대안이 된다.

 

 

② 장기간 영양공급이 필요한 경우 — 비강관(nasogastric tube)으로는 불편하거나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더 안정적인 길을 제공한다.

 

 

③ 구강·식도 부위 병소 또는 수술 병력으로 입으로 음식 공급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 예: 두경부 종양, 방사선 후유증, 구조적 이상 등이 포함된다.


 

④ 예방적 또는 완화적 목적으로 — 심한 병상 · 만성질환으로 전반적인 영양상태 악화가 우려될 때, 또는 삶의 질 개선 목적으로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시술 절차: PEG 관 삽입 과정과 종류

PEG 시술은 내과(소화기내과 또는 위장내과) 내시경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① 내시경 검사 후 위치 확인 – 위 내시경(upper endoscopy)을 통해 위 내부 상태, 출혈 가능성, 위벽과 복벽 간의 거리 등을 확인한다.

 

 

② 복벽을 통한 피부 절개 – 외부 피부를 국소마취하고 작은 절개를 하여 위벽과 복벽 간에 통로를 만든다.

 

 

③ 내시경 유도 하 가이드 와이어 삽입 및 PEG 튜브 고정 – Pull 기법 또는 Introducer(푸쉬) 기법 등이 사용된다.


 

④ 고정 플랜지(내부 플랜지와 외부 플랜지) 설치 – 관이 복벽을 통해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장치가 설치된다.


 

⑤ 시술 후 회복 및 영양 시작 – 며칠 내 상처 회복을 관찰하고, 영양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영양 조제 및 투여 계획을 수립한다.

 

관리 및 일상생활: PEG와 함께 살아가기

PEG 삽입 후 사용자가 지켜야 할 관리 지침과 일상생활 변화는 다음 같다.

 

① 삽입 부위 청결 유지 – 피부 접촉부위 청결하게 유지하고, 분비물이나 누출이 있으면 즉시 조치. 물품 사용은 멸균 거즈 등 권장됨.

 

 

② 튜브 주기적 점검 – 위치 흔들림, 막힘, 외부 몸체 손상 여부 확인.

 

 

③ 영양 공급 계획 준수 – 먹는 포뮬러(formula)의 종류, 속도, 양은 영양사의 지시에 따라 조정됨.

 

 

④ 활동 및 위생 주의 – 샤워 시 튜브 주위 방수 처리, 강한 압력 피하기, 누워서 공급 시 역류 주의.

 

 

⑤ 튜브 제거 또는 교체 시기 판단 – 음식섭취 가능 회복, 감염 또는 기타 부작용 발생, 조치 필요 여부 등.

 

합병증 및 주의사항: PEG의학용어 뒤에 숨겨진 리스크

PEG 삽입에는 여러 가지 일반적/중대한 합병증이 수반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이해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① 피부 감염 및 누출 – 삽입주변의 발적, 농, 누액 등이 생길 수 있음. 적절한 위생 및 드레싱 필요.

 

 

② 출혈 및 위장 천공 – 시술 시 혈관 손상이나 위벽 손상 가능성. 출혈 위험요인(항응고제 복용, 간질환, 저혈소판 등) 사전 평가 필수.

 

 

③ 역류·흡인 위험 – 영양공급 시 위 내용물이 호흡기로 흡인되면 폐렴 유발 가능. 자세 조절 및 공급 속도 관리 중요.

 

 

④ 튜브 막힘(bolus clogging) – 약물 찌꺼기나 점증되는 영양액 잔여로 인한 폐쇄 발생 가능. 주기적인 물 세척 및 포뮬러 농도 관리 중요.

 

 

⑤ 피부·내부 구조의 유착 및 ‘buried bumper syndrome’ – 내부 플랜지 또는 고정장치의 과잉 유착으로 문제가 되는 증후군.

 

 

 

제거 및 중단: PEG의학용어가 끝나지는 않는다

PEG관이 더 이상 필요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부작용으로 인해 제거를 고려해야 할 때의 절차 및 주의사항이다.

 

제거 시기는 다음 경우이다:

 

- 환자가 다시 입을 통해 음식 섭취 가능해졌을 때

 

 

- 감염, 출혈, 기타 합병증으로 인해 유지가 위험할 때

 

 

- 영양 상태가 안정적이며 다른 경로 치료가 가능한 경우

 

 

제거 후 구멍(stoma)은 대부분 며칠~수주 내 자연적으로 닫히지만, 닫히지 않으면 외과적 봉합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비교: PEG vs NG튜브 vs 말초영양 vs TPN

PEG가 선택되는 이유는 여러 영양공급 방식 중 장점·단점 때문이다.

 

- NG(비강)튜브: 단기간 영양공급 가능하나 코와 목 자극·위치 이탈 빈도 높음.

 

 

- 말초 영양(peripheral parenteral nutrition): 정맥 통해 영양 공급하나 감염·정맥 손상 위험 및 장 기능 활용 감소.

 

 

- 중심정맥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위장관을 사용할 수 없거나 흡수 불량 시에만 적용하며, 비용·합병증·생활 제약 큼.

 

 

- PEG(경피적 위루술): 위장관 기능이 유지되는 환자에게 가장 경제적이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경장영양 루트임이 여러 연구에서 보고됨. 

 

 

PEG의학용어 이해를 돕는 실제 비용 및 치료 환경

국내외 현황 및 치료 환경을 보면 다음과 같다.

 

시술비용은 병원·지역·입원 여부 등에 따라 크게 다르다. 미국에서는 시술비·입원비 포함하여 수천 달러가 될 수 있고, 국내에서는 보험 적용 여부, 시술 난이도, 입원 기간 등에 따라 몇십만 원~백만 원대가 될 수도 있다. 의료급여 및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확인해야 한다.

 

 

환자·보호자를 위한 체크포인트

PEG가 처음이거나 관리가 익숙하지 않은 보호자·환자를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사항들이다.

 

① 시술 전/후 영양사·의사와 충분히 상담

 

 

② 시술 후 초기 통증과 불편감 대비

 

 

③ 삽입부위 감염 증상(발적·농·악취·열감) 관찰

 

 

④ 튜브 막힘 방지용 물 세척과 정기 교체 지침 준수

 

 

⑤ 보호자나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 확인

 

 

 

 

맺는말

PEG의학용어는 단순한 약어가 아니라, 영양공급의 중요한 루트 중 하나로, 말 못하는 환자나 삼키는 기능 상실 상황에서 삶의 질과 회복 가능성에 큰 영향을 준다. 적응증, 시술 절차, 관리 및 합병증, 제거 시 고려점 등을 잘 이해하고 보호자·보건의료진이 협력할 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글이 PEG의학용어를 처음 마주한 사람에게도, 이미 경험한 환자나 가족에게도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의료진 질문지나 병원 방문 시 이 내용을 참고하여 필요한 부분을 기록해 두면 상담이 원활할 것이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